Research
목차
연구 프로젝트
진행중인 프로젝트
- 휴머노이드 로봇 인터페이스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유저스터디 및 사용성평가 (2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휴머노이드 수술보조 로봇 감정지능 적응형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파일럿 스터디 (2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사업 1-2 대학-기업 융합형 선도연구소 육성 (2025-2029), 교육부 - 책임
- 스마트 병상 구축을 위한 다중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개방형 유연 센서 플랫폼 개발 (2025), 산학연 Collabo R&D사업(예비연구),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참여기관 책임
-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구급대원용 딥헬스라이프캠 개발 (2025), 산학연 Collabo R&D사업(예비연구),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참여기관 책임
- 4족 보행로봇 과수정찰서비스 사용성 평가시스템 개발 (2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연구용역 책임
-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성형(LLM/LVM) AI모듈을 탑재한 온디바이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시스템 개발 (2025-2026), 산학 R&BD협업 상용화 과제,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 주관기관 책임
- 인공지능 정밀의료 솔루션 기반 원내시스템 구축 (2025-2026), 2025년 AI바우처 지원사업,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참여
- 시각지능 기반 멀티생체신호 측정 기술의 사업화 추진을 위한 IP 고도화 및 상용화, 대학기술경영촉진 (IP스타과학자 지원형) (2025-2027),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책임
- 시각지능 기반 멀티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실증 스케일업 (2025-2026), 연구개발특구육성(R&D),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참여기관 책임
- 항피부염 펫푸드 활용을 위한 가시나무류 추출물 소동물 섭취 효력 평가 (2025),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연구용역 책임
-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기반 뇌혈관협착증에 의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죽상경화반의 퇴행 및 안정화와 뇌경색 조직 재생을 증진시키는 치료기술 개발 (2025-2027), 우수신진연구, 한국연구재단 - 책임
- 광학 기술을 이용한 비접촉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2024-2026), 비사연구비, 계명대학교
- 비전 인텔리전스 기반 새로운 비접촉 혈압 측정 시스템 및 알고리즘 (2024), 우수학술연구비, 계명대학교
- 정신 건강을 위한 실시간 이미지 시퀀스 기반 스트레스 평가 시스템 개발 (2023), 우수학술연구비, 계명대학교
- 차세대 바이오포토닉스 자극을 이용한 모야모야병 혈관신생 촉진 연구 (2024-2026), 비사연구비, 계명대학교
- 천공 안전성 및 절개성능을 향상시킨 국내 최초 고성능 개두술용 핸드피스 복합 유닛 개발 (2024-2026),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시장대응형), 중소벤처기업부 - 위탁 책임
- 감염병 시설 비대면 진료용 지능형 모니터링 기기 개발 (2023-202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참여기관 책임
- 유니버셜 디자인이 적용된 영상기반 비대면 진료용 의료기기 개발 (2022-2025),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개발사업 - 참여기관 책임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 (2021-2025),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참여기관 책임
- 적정기술기반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지역 현장적용형 문제해결 R&SD (2024-2027),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주관기관 책임
-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인체 삽입형 바이오포토닉스 전자약 연구 (2022-2027),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산업혁신기술지원 플랫폼구축 사업 (바이오) (2021-2025),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참여기관 책임
- 욕창에 적용 가능한 임피던스-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기반 피부 패치형센서 및 보조진단시스템 개발 (2023-2026),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한국연구재단 - 책임
- 모야모야병에서 광자극을 이용한 혈관신생의 효과로 혈류증강을 위한 세포 및 동물모델 연구 (2024-2027), 개인기초연구(우수신진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책임
- 인텔리전트 건설시스템 핵심지원센터 (2020-2026),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지원과제, 한국연구재단 - 주관기관 참여
수행완료 프로젝트
- [종료] 다수의 실외 말단 배송로봇의 통합관제를 위한 다중로봇 협동 자율계획 기술 개발 만족도 조사 검증 연구 (2025), 에어텍모빌리티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대구-고베 우호협력도시 15주년 기념사업 (2025), 대구광역시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호흡 재활 시스템을 통한 수면 질 개선 검증 방법 연구 (2025), (주)엠디에이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근골격계 건강 관리 스마트 기기의 사용 실증 (2025), 실현장 기반 실증·적용 기술검증(PoC) 지원사업, (재)대구테크노파크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기존 피시험자 대상 CNC 제어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먼팩트 측정 (2025), 대구기계부품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의료용 필러(조직수복 및 필부경화 하이드레이션)에 대한 사용적합성평가 검증 방법 연구 (2025), (주)코웍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노인 및 하반신 환자를 위한 승강형 보행의자 개발 (2024-2025), 산학협동재단 매칭펀드 연구과제, 산학협동재단 - 책임
- [종료] 모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바디 밸런스 진단/교정 플랫폼 개발 (2023-2025), 산학 R&BD협업 상용화 과제,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 주관기관 책임
- [종료] 시각 지능기반 컨텍리스 생체신호 감지 스마트 미러 알고리즘 개발 및 시제품 제작 (2024-2025), LINC 3.0-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로봇의 고난이도 작업을 위한 티칭 디바이스 및 티칭 앱에 대한 사용성평가 (2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로봇 작업 티칭을 위한 휴먼팩터 설계 (2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사무용 의자(2종)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먼팩터 측정 (202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의료용 필러 휴먼팩터 및 사용적합성 검증 연구 (2024), (주)코웍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유용 상록활엽수 추출물 활용 생쥐모델 항피부염 기능성 평가 (2024),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인공지능 기반 신체 균형 측정 및 진단 플랫폼 개발 (2024), LINC 3.0-지역기업 수요 맞춤형 선행기술개발 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사무용 의자(2종)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먼팩터 측정 (2024),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ECG 웨어러블 및 AI데이터분석을 위한 생체인식플랫폼 검증 연구 (2024), (주)홈즈에이아이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시각지능기반 비접촉 생체신호 감지 스마트 미러 제품의 사용적합성 평가 (2024), (주)인셉션랩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당화혈색소 측정기기 성능 및 사용성 검증 연구 (2024), 주식회사 에프티아이코리아(FTI Korea Co.,Ldt)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CNC 제어시스템(표준형 KCN3.0)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먼팩트 측정 (2024), 대구기계부품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신체접촉 없이 자율신경계 신호 측정이 가능한 진료보조용 컨텍리스 헬스 미러 개발 (2023-2024), 대구특구 유망연구실 실증화 지원 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 및 예측 알고리즘 연구 (2023), 우수학술연구비, 계명대학교
- [종료] 욕창 및 창상 치료 개선을 위한 광섬유 침장류 개발 (2023), 산학연Collabo R&D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주)인셉션랩
- [종료] 붉가시 등의 추출물 활용 피부염증 유발 생쥐의 항피부염 기능성 평가 (2023),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골이식 대체재에 대한 사용적합성평가 검증 방법 연구 (2023), 경북대학교병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무동력 높낮이 조절형 보행보조의자 기술검증 및 휴먼팩터 분석 (2023), 제이엘(JL)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인체삽입형 알츠하이머 센서 임상 시험 및 카데바 적용 시험 연구 (2023), (주)인셉션랩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상지재활장치에 대한 사용적합성평가 검증 방법 연구 (2023), (주)코트라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건강한 슈퍼에이징 시대를 위한 컨텍리스 헬스케어 시각지능 시스템(Deep Health Eye) (2023), 역현안해결형 연구개발(R&D) 기술수요조사 및 과제기획 지원, (재)대구테크노파크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퀵커머스용 스마트 패키징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평가 검증 방법 연구 (2023), 주식회사 노이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CNC 제어시스템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먼팩트 측정 (2023), 대구기계부품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권역별 고령친화산업혁신센터 (2020-20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주관기관 책임
- [종료] 전자기장(EM) 방식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기 개발과 음향렌즈를 조합한 충격파 변환부 연구 (2021-2022),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연구개발지원사업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의료용 필러 및 창상피복재에 대한 사용적합성평가 검증 방법 연구 (2023), (주)코웍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포토닉스 기반 욕창 진단/치료기기의 상품성 강화를 위한 무선충전 크래들 개발 (2023-2024),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혁신형 고령친화기업 집중 육성 지원사업 (202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주관기관 책임
- [종료] 욕창 1~4단계에 대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인공지능 융합형 디지털패치 개발 (2023), 2023 의료기기 업종전환 지원 기반구축사업 기술지원사업,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 (주)인셉션랩
- [종료] 바이오 포토닉스 기반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인체 삽입형 디바이스 개발 (2023-2024), TIPS 창업사업화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주)인셉션랩
- [종료] 바이오 포토닉스 기반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인체 삽입형 디바이스 개발 (2023-2024), 팁스(TIPS)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육성(비R&D) 창업사업화, 중소벤처기업부 - (주)인셉션랩
- [종료] 바이오 포토닉스 기반 알츠하이머 치료를 위한 인체 삽입형 디바이스 개발 (2023-2024), 팁스(TIPS)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육성(비R&D) 해외마케팅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주)인셉션랩
- [종료]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기반 피부 패치형 욕창 진단/치료기기 개발 및 실증 (2023), [지자체-대학 지역혁신 사업(RIS)] 성과 공유형 대학-기업 협업 기술개발 및 실증 인프라 활용 제품화 지원 과제 - (주)인셉션랩
- [종료] UWB 센서를 이용한 수면데이터 수집 용역 (2023), (주)에이아이딥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지능형 베개의 상용성 정성적 평가용역 (2023), (주)에이아이솔루션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바이오 포토닉스 기반 맞춤형 알츠하이머 치료기술 개발 (2021-2023),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TIPS) 팁스, 한국엔젤투자협회 - (주)인셉션랩
- [종료] SW기반 의료헬스기기 제품고도화를 통한 지역 건강관리 산학병협력 플랫폼 구축 전략 (2023),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를 위한 휴먼팩터가 고려된 인공지능기반 에어서큘레이터 개발 (2022-2023),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휴먼팩터 평가 분석 연구개발 (2022-2023), (주)휴카시스템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의료용고주파열상발생기(수술기)휴먼팩터 평가 분석 연구개발 (2022-2023), (주)아프로코리아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영유아 숙면 유도 기능성 기기 (2022-2023), 제조 중소기업 혁신 바우처사업, 중소벤처기업부 한국산학연협회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생체 정보 측정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척추 경혈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사용적합성 평가 연구 (2022-2023), (주)쓰리에이치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착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가스감지 기능을 통한 활동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 고신축 소재기반 화학보호복 (Level BC급) 개발 (2020-2022),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 행정안전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차세대 개인형 바이오포토닉스 의료기기 컨소시엄 (2022), 지역밀착형 연구활동 지원사업, (재)대구테크노파크 - AICD 연구실, (주)인셉션랩
- [종료] 로봇의 고난이도 작업을 위한 티칭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휴먼팩터 설계 (2022-2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연구용역
- [종료] 정책품목 보조기기 3종 대상 Large Scale 현장실증 연구 (2022-2023), 국립재활원 보조기기연구사업 - 연구용역
- [종료] 융복합센서 탑재 드론의 건설 및 유지관리 현장 적용 연구 (2021-2022), 한국도로공사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바이오 포토닉스 센서로 욕창을 진단하고 치료가 가능한 피부 패치형 광치료 기기 개발 (2021-2022), 지역특화산업육성+(R&D), 중소기업벤처부 - (주)인셉션랩
- [종료] 코로나 진단키트 휴먼팩터 평가 분석방법 연구 (2022), (주)인텔로스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30분 이내 3D 영상이 가능한 인공지능 자궁경부암 판별용 디지털 스캐너 개발 (2018-2022), 바이오핵심기술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Deep Health Eye: 시각지능을 통한 인체의 3대 생체정보 (맥박, 산소포화도, 혈압) 획득 및 이를 활용한 복합감정 및 건강상태 예측 시스템 연구 (2017-2022), 개인기초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공기 질 센서, 영상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및 독거인을 위한 IoT 기반 비접촉 헬스케어 시스템 (2021), 중소벤처기업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Vital Sign 측정기 모바일 App 사용성 평가 연구 (2021-2022),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포터블 X-선 촬영장치(KA6)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사용성 평가 연구 (2021-2022),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생체신호 감지 알고리즘 검증 및 실증 (2021-2022), (주)모비노마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협동로봇 티칭디바이스 휴먼팩터 연구개발 (2021-2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욕창예방 침대로봇 최종 시제품 사용성평가 연구 (2021), (재)부산테크노파크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욕창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포토닉스 기반 스마트 센서 (2021-2022),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 (근골격계 동영상 데이터 구축) (2021-2022), 한국정보화지능원 - 주관기관 참여
- [종료] 욕창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피부 패치형 센서 (2021-2022), 바이오데이터 검증 지원사업,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주)인셉션랩
- [종료] 3D OCT영상내 다양한 병변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자동분석 및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 개발 (2020-2021), 비사연구비 - 계명대학교 책임
- [종료]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엔지니어링 연구 (202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바이오포토닉스장치 시제품 제작, 최적의 디자인 적용 및 특허 확보 (2021-2022), 이전기술사업화지원사업, (재)대구테크노파크 - (주)인셉션랩
- [종료] 인공지능 기반 욕창 진단 및 치료 센서의 동물실험 및 생체적 합성 연구 (2021), (주)인셉션랩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보국전자 전기요와 수면패턴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2021), (주)보국전자 - 연구용역 책임
- [종료] 의료기기 표준 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활성화 지원 (2016-2021), 산업기술기반구축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주관기관 참여
- [종료] AR기술 적용 심혈관계 시술 가상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2017-2021),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보건복지부 - 위탁연구
- [종료] 스마트워크웨어 휴먼팩터링 2차 (2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연구용역 - 책임
- [종료] 스마트워크웨어 휴먼팩터링 (2021),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연구용역 - 책임
- [종료] 3D프린팅 의료기기 사용오류 저감을 위한 인간공학적 접근 및 연구보고서 작성 (2021),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연구용역 - 책임
- [종료] 실생활 기반 사용성평가 지원센터 구축사업 (2015-2021), 산업기술거점기관지원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총괄 책임
- [종료] 진단 기기를 통한 체내 영양성분 분석 협력 연구 (2020-2021), (주)삼성전자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HCI 사용성평가(UI/UX) 지표 개발 연구용역 (2021), (재)대구테크노파크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욕창예방 침대로봇 1차 시제품 사용성 평가용역 (2020-2021), 부산테크노파크,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만성질환자의 식단, 운동량 등 일상생활 패턴 분석을 활용한 건강 지수 개발 (2020-2021), 글로벌비즈텍,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의료기기 사용성평가지원 연구용역 (2020-2021),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산학연구 책임
- [종료] 만성 심부전 환자 관리를 위한 삽입형 피하 생체조직저항 측정기기 개발 (2018-2021),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보건복지부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다중객체 검출을 통한 생체신호 인증 및 이상 징후 감지 시스템 (2020-2021), 기술이전사업화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스마트한 건강관리를 위한 지능형 미러 디바이스 시스템 개발 (2020-2021), 기술이전사업화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IoT기술을 활용한 요양병원용 노인의 심장이상/ 부정맥/스트레스 모니터링용 서비스 플랫폼 개발 (2020-2021),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중소벤처기업부 - 위탁연구
- [종료] 생체 신호 측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정상적 생체신호 판별율 검증 및 이상 신호에 대한 feedback 소요 시간 측정 (2020), (주)휴머노피아, - 용역연구
- [종료] 생체신호 측정용 의류 사용성 및 착용성 평가 (20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용역연구
- [종료] LED mask 제품 휴먼팩터 및 불편부위 평가 용역 (20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용역연구
- [종료] “스윙싯(swingsit) 제품의 기능적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데이터 분석 연구 (2020),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 위탁연구
- [종료] 한방재료 추출물과 팽이버섯을 이용한 양념 및 양념고기 (2019-2020), 농식품연구성과후속지원사업 - 농림축산식품부 - 책임 (허진철 연구교수)
- [종료]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사용한 혈관 내 단면 영상에서 다양한 병변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자동분석 및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 개발 (2017-2021),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 책임 (동산의료원 신경외과 김창현 교수)
- [종료] 인체기관의 조직별 텔로미어 길이와 FOXO3, APOC3, LMNA 유전자의 SNP 분석을 통한 바이오 생체시계 차이 및 질환예측 시스템 개발 (2018-2021),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 책임 (유전학교실 김대광 교수)
- [종료] 뇌유래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LED 광파장에 의한 기억증진 효능 확인 (2017-2020),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 책임 (허진철 연구교수)
- [종료] 인공지능 기반 시각정보를 통한 생체정보 (맥박, 산소포화도, 혈압) 획득 및 이를 활용한 복합감정 및 건강상태 예측 시스템 연구 (2018-2019), 계명스칼라연구비 - 책임
- [종료] 차세대 뇌혈관 수술을 위한 광간섭성 단층촬영용 브레인 카테터의 임상 적용성 확인 (2019-2020), 대구시 메디 스타트업 프로그램 (후속), DGMIF - 책임 (동산의료원 신경외과 김창현 교수)
- [종료] 자기 주도형 휴대용 생활환경 안전진단 키트 및 앱기반 서비스 시스템 (2016-2020), 산업기술혁신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의 감성 정량화를 통한 융·복합기기 제품 고도화 및 지원사업 (2019), 미래산업육성 신규프로젝트 기획지원사업, 대구테크노파크 - 책임
- [종료] 90% 이상의 정확도의 생체신호 측정과 Biofeedback을 통한 IoT기반 스트레스 조절 기능의 사용자 감성충족 디자인 적용 여성용 스마트 의류일체형 디바이스 개발 (2017-2019), 산업기술혁신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뇌유래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바이오 포토닉스 기반 특정 파장에 의한 기억증진 효능 연구 (2019-2020), 비사연구비 - 계명대학교 - 책임
- [종료] 유아용 바운서에서 소리측정 알고리즘 센서개발 (2019-2020), 산학공동 기술(지식)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트레이닝 시스템을 위한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및 알고리즘 개발 (2019-2020), (주)삼성전자 무선사업부 - 책임
- [종료] 믹서트럭 운전자를 위한 인공지능 운전자 관리 시스템 (2018-2019), 기술이전사업화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계명대학교 창업선도대학(2019-2020), 초기창업패키지, 창업진흥원 - 주관기관 참여
- [종료] 심장질환 자동 판독이 가능한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 연구 (2019), 우수학술연구비 - 계명대학교 - 책임
- [종료] 무선통신 및 충전이 가능한 인체삽입형 센서의 생체적합성 및 표준화 연구 (2019), 우수학술연구비 - 계명대학교 - 책임
- [종료] 유방암 초음파 영상판독 보조진단 소프트웨어 및 유사환자 검색시스템 개발 (2017-2019),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계명대학교 창업선도대학(2018-2019),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 창업진흥원 - 주관기관 참여
- [종료] 이노캠퍼스-엑셀러레이팅 사업(2018-2019),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주관기관 참여
- [종료] 방수형 초음파 워터필링기 개발 (2018-2019),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책임
- [종료] 차세대 뇌혈관 수술을 위한 광간섭성 단층촬영용 브레인 카테터 개발 (후속연구) (2017-2018), 대구 의료분야 연구자 창업 지원사업, DGMIF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 책임 (동산의료원 신경외과 김창현 교수)
- [종료]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지표 및 가이드라인 개발 (20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라이프케어사업단 - 연구용역
- [종료] Image Data Processing for Warby Parker (2018-2019), Warby Parker, Inc. - 연구용역
- [종료] 인체 마네킹을 이용한 재활 환자 시뮬레이터 개발 (2018-2019), 영남이공대학교 - 연구용역
- [종료] 인공지능기반 인간 감정 정량화 알고리즘 연구 (2017-2018), 우수학술연구비 - 계명대학교 - 책임
- [종료] 신체부착형 생체정보 모니터링 통합 디바이스모듈 기술개발사업 휴먼팩터 평가 연구(2018), (주)동양산업 - 연구용역
- [종료] 발목의 경직완화와 기능 개선을 위한 하지재활 로봇 검증 (2018-2019), (주)두원테크 - 연구용역
- [종료] 상하지의 3차원 동작분석 및 바이오신호를 포함한 다차원 데이터 분석 (2018-2019),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구용역
- [종료] 임베디드SW 전문인력양성사업 (2016-2020),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인체활동 통합관리지원을 위한 다중 웨어러블 SW융합모듈 및 유연 SW 응용플랫폼 기술개발 (2016-2019),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 미래창조과학부 (MSIP)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거치형 하지 재활훈련과 이동형 능동 보행을 함께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하지재활시스템 (2016-2017), 경제협력권산업육성 기술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광학 영상을 이용한 초저가 유방암 조기 진단 기기 개발 (2015-2017),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참여기관 책임
- [종료] 고령친화제품 사용성평가 전문기관 시범 운영 사업 (2017-20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연구용역 참여
- [종료] VC 유형별 사용성평가 분석 연구 용역 (2016-2017), (주)삼성전자 - 연구용역 참여
- [종료] 유방암 초기증상의 자가진단을 정량화하고 병변을 진단/예측하기 위한 촉각 영상화 방법 연구 (2014-2017), 일반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체온 유도 디바이스 개발 (2016-2017),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청 - 연구 책임
- [종료] 비타민D 측정기가 부착된 가정용 UVB 기기 개발 (2016-2017),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청 - 연구 책임
- [종료]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인체삽입형 생리기능 자동감시 시스템 기술 (2012-2017),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사업, 미래창조과학부 (MSIP)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초박형 피부접착 생체센서용 무선전력전송 모듈 개발(2016-2017),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혈류량 감지 시스템 기술개발 (2014-2016), 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청 - 연구 책임
- [종료] 4060세대 심질환자 관리를 위한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는 부정맥 자동 검출 센서 장착 아웃도어용 스마트 셔츠 상용화 기술개발 (2015-2016),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수요연계형 Daily Healthcare 실증단지 조성사업 (2015-2018), 미래창조과학부 (MSIP) - 참여기관 참여
- [종료] 지속적인 생체모니터링을 위한 접착형 인공피부 Epidermal Electronics 센서 개발 (2015), (재)동일문화장학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빅데이터 기반 초음파 영상 자동 진단 소프트웨어 개발 (2015-2016),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컴퓨터 통합 진단 솔루션, (2015-2016), 의료기기, 의료로봇 기술 개발 및 의료IT융합 활성화 사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 연구 책임
- [종료] 심혈관계 질환 의료기술 훈련 역량강화 R&D 기획 (2015-2016),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 연구 책임
- [종료] 일반인(직장인)의 균형 잡힌 웰니스 증진을 위한 응용 서비스 플랫폼 구축 (2013-2016),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연구 책임
- [종료] 삼차원 멀티 터치스크린 시스템용 의료영상 컨텐츠 솔루션 개발 (2015), (주)알앤디플러스 - 연구 책임
- [종료] 촉감 영상을 이용한 초저가 유방암 조기 진단 기기 개발 (2014-2015),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심장 진환의 진단 편의성을 위한 대용량 심전도 신호 자동 분석 시스템 개발 (2013-2014),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 한국연구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한 초음파 영상 자동 진단 시스템 개발 (2013-2014), (재)산학협동재단 - 연구 책임
- [종료] 생체 신호 분석을 통한 부정맥 진단 알고리즘 및 모니터링 리포트 시스템 개발 (2013-2014),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지원사업, 중소기업청 - 연구 책임
- [종료] 부정맥 질환 진단/치료기기 개발 및 상용화 지원사업 (2013-2015), 광역경제권연계협력사업, 산업통상자원부 - 참여기관 참여
Optogenetics
Optogenetics is a biological technique which involves the use of light to control cells in living tissue, typically neurons, that have been genetically modified to express light-sensitive ion channels. It is a neuromodulation method employed in neuroscience that uses a combination of techniques from optics and genetics to control and monitor the activities of individual neurons in living tissue?even within freely-moving animals?and to precisely measure the effects of those manipulations in real-time. The key reagents used in optogenetics are light-sensitive proteins. Neuronal control is achieved using optogenetic actuators like channelrhodopsin, halorhodopsin, and archaerhodopsin, while optical recording of neuronal activities can be made with the help of optogenetic sensors for calcium (GCaMP), vesicular release (synaptopHluorin), neurotransmitter (GluSnFRs), or membrane voltage (Arclightning, ASAP1). Control or recording is confined to genetically defined neurons and performed in a spatiotemporally precise manner by light.
High-Resolution Tactile Imaging Sens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and Nonrigid Pattern Matching Algorithm
This is a development of comparative studies of elasticity using optical based high resolution elasticity imag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based elasticity imaging device and forward/inversion based stress/strain measurement algorithm are developed to extract fully elasticity map of the tissue. This is the first validation study of optical based elasticity estimation for tumor detection with direct comparison based on in vivo data. The tissue inclusion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to measure the stiffness as well as geometric parameters. The estim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tactile data obtained at the surface of the tissue using an optical tactile sensation imaging system (TSIS). A forward algorithm is designed to comprehensively predict the tactile data bas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ssue inclusion using finite element modeling (FEM). This forward information is used to develop an inversion algorithm that will be used to extract the size, depth, and Young's modulus of a tissue inclusion from the tactile data. We utiliz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for inversion algorithm.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was validated by the realistic tissue phantom with stiff inclusions.
Human Implantable Arrhythmia Monitoring Sensor with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mission Technique
Prolonged monitoring is more likely to diagnose atrial fibrillation accurately than intermittent or short-term monitoring. In this study, an implantable electrocardiograph (ECG) sensor to monitor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in real time was developed. The implantable sensor is composed of a micro controller unit,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 signal transmitter, an antenna, and two electrodes. The sensor detects ECG signals from the two electrodes and transmits these to an external receiver carried by the patient. Because the sensor continuously transmits signals, its battery consumption rate is extremely high; therefore, the sensor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hat allows it to charge wirelessl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integrated sensor has the approximate dimensions 0.12 in x 1.18 in x 0.19 in, which is small enough to be inserted into a patient without the need for major surgery. The signal and power transmission data sampling rate and frequency of the unit are 300 samples/s and 430 Hz, respectively. To validate the developed sens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mall animals.
Deep Learning Based Computer Aided Diagnostics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s critical in determining the best possible treatment approach. Due to its superiority compared with mammography in its ability to detect focal abnormalities in dense breast tissue, ultrasound imaging has become an important modality in breast tum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novel Fourier-based shape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that provide enhanced classification accuracy for breast tumor in the computer-aided B-mode ultrasound diagnosis syste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eatures,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4,107 ultrasound images containing 2,508 malignancy cas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reast tumor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technique was 15.8%, 5.43%, 17.32%, and 13.86% higher than the previous shape features such as number of protuberances, number of depressions, lobulation index, and dissimilarity, respectively.
Terahertz Radiation Imaging
Terahertz imaging is an emerging and significant nondestructive evaluation (NDE) technique used for dielectric (nonconducting, i.e., an insulator) materials analysis and quality control in the pharmaceutical, biomedical, security, materials characterization, and aerospace industries. It has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inspection of layers in paints and coatings, detecting structural defects in ceramic and composite materials and ima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paintings and manuscripts. The use of THz waves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enables inspection of multi-layered structures and can identify abnormalities from foreign material inclusions, disbond and delamination, mechanical impact damage, heat damage, and water or hydraulic fluid ingression. This new method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a number of industries for materials characterization applications where precision thickness mapping (to assure product dimensional tolerances within product and from product-to-product) and density mapping (to assure product quality within product and from product-to-product) are required.
Non-Contact Bio Signal Measurement
In recent years, the rapid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has revolutionized the field of bio signal measurement, making it more accessible, efficient, and user-friendly. However, wearable devices require direct contact with the patient, which can be uncomfortable for certain individuals. In this research, we present a vision-based system for estimating vital signs using remote photoplethysmography (rPPG). The rPPG technology enables the detection of blood volume changes in the facial skin through a camera that captures light reflected from the skin. By analyzing these changes, rPPG can extract vital signs such as heart rate, breathing rate, blood oxygen levels, blood pressure and even stress levels. Our system uses advanced signal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rPPG signal.
Stabilization of Aging Neurons Through Activation of Hippocampal BDNF by Optical Method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cts on specific neuron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to promote survival of neurons,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new neurons and synapses, involved in learning, long-term memory, and thinking. Some of the adult brain may have the capacity to grow new neurons from neural stem cells in the process known as neurogenesis. BDNF plays an important role in normal neural development. The team is working on the development of devices capable of expressing/secreting BDNF in the hippocampus, directly or indirectly, using optical wavelengths.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for Atopic Dermatitis using Terahertz Wav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s of high-quality terahertz for atopic dermatosis, and want to study diagnostic and treatment systems. Terahertz spectroscopy and disease model image analysis algorithm optimized for atopic dermatosis diagnosis, computer aided diagnosis algorith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grated diagnosis of terahertz image and user data to suggest optimal diagnosis and treatment strategy, verification of in vivo atopic dermatosis diagnosis and treatment efficacy using terahertz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puter assisted diagnosis algorithm. This system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standardized diagnostic methods for diagnostic methods give a biased visual information.
Computer Aided Diagnosis for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s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VOCT) is a medical imaging modality, which provides high images resolution (10-15 μm) cross sectional image of coronary artery. Therefore, IVOCT allows evaluation of thrombus and plaque. Clinically, irregular protrusions and thrombosis after stent deployment can be significant adverse outcomes such as thrombotic re-occlusion or restenosis. In IVOCT images, if thrombosis is present in the blood vessel, the vessel lumen has irregular shape feature and specific texture featu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lgorithm for automatically detect lumen morphology and analyze lumen shape feature and texture feature. Then, extracted features were classified into normal/abnormal lume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3-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lumen was performed to intuitively read the morphological shape of the lumen. In the 3-dimensional lumen model, normal/abnormal lumen are depicted with different colors to visualize irregularity of lumen. In the results, we noticed that the normal/abnormal lumen frame and location of the thrombosis in 3-dimensional lumen can be classified and analyzed in a few seconds and can lead to understanding of overall vascular status and help to determine cardiovascular diagnosis.
Optimization of Brain-Implanted Optical Sensors for Alzheimer's Treatment
This study presents a novel methodology for optimizing the optical parameters of brain-implanted sensors aimed at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Using finite element method (FEM)-based COMSOL Multiphysics, computational modeling a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key parameters such as light wavelength, incidence angle, tissue properties, electric fields, electromagnetic fields, light absorption rate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when a 660nm wavelength light source is directed at a 20-degree angle, light absorption within brain tissue is maximized while thermal effects are minimized. Spatial distributions of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were visualized to analyze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of light within the tissue. Additionally, thermal rise due to light absorption was calculated to propose designs that minimize the risk of thermal dama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developing non-invasive and safe optical therapy devic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sign of brain-implanted optical sensors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ies.
Digital Staining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Digital staining is an innovative staining technique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histological staining (HS) performed by experts. This technology was developed based 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s), using supervised and unsupervised learning approaches. In addition, to address the differences in staining quality and color between laboratories, single and multi-domain transformation staining method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models prevented overstaining, distinguished backgrounds more accurately than traditional unsupervised methods, and achieved staining results more similar to those of HS. Furthermore, a Virtual Staining GUI system was developed to enhance usability. This study proved the feasibility of applying supervised learning in environments without paired datasets and presented the potential for advancing multi-staining research using unstained images. These advanceme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athological analyses and enable automated staining methods for various pathological images.